# 국가장학금 신청 방법, 대상, 중도 해지 불이익 및 장단점 안내
국가장학금은 대학생들의 등록금 부담을 줄이고 학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국가에서 지원하는 소득연계형 장학금입니다. 이 글에서는 국가장학금의 신청 방법, 지원 대상, 중도 해지의 불이익, 그리고 장학금의 장단점을 상세히 안내하겠습니다. 현재는 2025년 2월 20일로, 2025학년도 1학기 기준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합니다.
---
## 1. 신청 방법
국가장학금은 한국장학재단을 통해 신청하며,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릅니다:
### (1) 신청 기간
- **1차 신청**: 2024년 11월 21일(목) 09:00 ~ 12월 26일(목) 18:00
- **서류 제출 및 가구원 동의**: 2024년 11월 21일(목) 09:00 ~ 2025년 1월 2일(목) 18:00
- 참고: 2차 신청은 보통 2~3월에 진행되며, 1차 신청이 원칙이나 재학 중 2회에 한해 구제 신청 가능.
### (2) 신청 경로
- **온라인 신청**:
1. 한국장학재단 누리집([http://www.kosaf.go.kr](https://www.kosaf.go.kr)) 또는 모바일 앱 접속.
2. 공인인증서(또는 간편 인증)로 로그인 후 회원가입(최초 1회).
3. ‘장학금 신청하기’ → ‘소득연계형 국가장학금’ 선택 후 신청서 작성.
4. 가구원 정보 제공 동의(부모 또는 배우자) 및 필요 서류 업로드.
- **오프라인 신청**: 불가. 온라인으로만 진행.
### (3) 필요 서류
- **필수**: 본인 공인인증서, 계좌번호(본인 명의).
- **추가 제출** (상황에 따라):
- 가족관계증명서,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, 다자녀 증빙 서류 등.
- 서류 제출 대상 여부는 신청 후 SMS로 안내됨.
### (4) 절차 완료
- 신청 후 약 1~2개월 내 심사 완료, 결과는 홈페이지 또는 SMS로 확인.
- 지급은 등록금 감면 또는 계좌 입금 방식으로 진행 (5월 말 예정).
---
## 2. 지원 대상
국가장학금은 소득과 학업 성취도를 기준으로 지원 대상을 선정합니다:
- **공통 조건**:
- 대한민국 국적 소지자.
- 국내 대학 재학생(신입생, 편입생, 복학생, 재입학생 포함).
- **소득 조건**:
- **Ⅰ유형**: 학자금 지원 8구간 이하(2025년 기준 1인 가구 약 240만 원 이하).
- **Ⅱ유형**: 학자금 지원 9구간 이하(대학별 기준 상이).
- **다자녀**: 8구간 이하 다자녀 가구(셋째 이상 자녀 대상).
- **성적 조건**:
- 직전 학기 12학점 이상 이수 및 80점 이상(B학점).
- 기초·차상위 계층은 70점 이상(C학점), 1~3구간은 C학점 경고제 2회 적용.
- 신입생, 편입생, 장애학생 등은 첫 학기 성적 기준 미적용.
- **제외 대상**:
- 수업연한 초과자(4년제 기준 8학기 초과).
- 2025년도 학자금 지원 불가 대학 재학생.
---
## 3. 중도 해지 불이익
국가장학금은 엄밀히 말해 ‘중도 해지’라는 개념보다는 수혜 후 학업 중단(휴학, 자퇴) 또는 자격 상실 시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:
### (1) 불이익 사례
- **휴학 시**:
- 등록금 지급 후 휴학하면 해당 학기 장학금 이월 처리되나, 복학 후 다음 학기 재신청 필요.
- 휴학 중에는 지원 불가.
- **자퇴 또는 학업 중단**:
- 장학금 수령 후 학업을 중단하면 반환 의무 없음(단, 사후 관리 제외).
- 다만, 최대 수혜 횟수(8회)에서 해당 학기 제외, 재입학 시 남은 횟수만 지원.
- **자격 상실**:
- 성적 미달(80점 미만, C학점 경고 2회 초과) 시 다음 학기 지원 불가.
- 중복 지원(타 장학금과 중복 수령) 적발 시 환수 조치 가능.
### (2) 실질적 불이익
- **기회 손실**: 중도에 학업을 포기하면 장학금으로 얻을 수 있는 학업 지속성과 경제적 지원 혜택 상실.
- **재신청 제한**: 구제 신청 기회(2회) 소진 시 더 이상 지원 불가.
---
## 4. 장단점
### 장점
- **경제적 부담 완화**:
- 최대 570만 원(기초·차상위 전액 지원)까지 등록금 지원, 학자금 대출 의존도 감소.
- 예: 2025년 1~3구간 570만 원, 4~6구간 420만 원 등 소득별 차등 지원.
- **교육 기회 확대**:
- 저소득층 학생의 대학 진학 및 졸업률 증가에 기여.
- 다자녀 가구 추가 지원으로 형평성 강화.
- **유연성**:
- Ⅰ유형(학생 직접 지원)과 Ⅱ유형(대학 연계) 선택 가능.
- 신입생부터 재학생까지 폭넓게 적용.
### 단점
- **신청 절차 복잡성**:
- 가구원 동의, 서류 제출 등 초기 준비 과정이 번거로움.
- 소득 심사에 약 1~2개월 소요, 늦장 신청 시 지급 지연 가능.
- **제한적 조건**:
- 성적 기준(80점 이상) 충족 요구, 성적이 낮은 학생 불리.
- 수업연한 초과자 및 일부 대학 제외로 대상 제한.
- **중도 불이익 가능성**:
- 학업 중단 시 남은 지원 기회 감소, 재신청 시 불편 발생.
---
## 마무리
국가장학금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되는 제도지만, 신청 과정과 자격 유지를 신경 써야 합니다. 2025학년도 1학기 신청은 1차 기간 내(12월 26일까지) 완료하는 것이 중요하며, 중도 해지(학업 중단) 시 기회 손실을 감안해야 합니다. 장점인 등록금 지원과 단점인 조건 제한을 비교해 본인의 상황에 맞게 활용하세요. 추가 문의는 한국장학재단 상담센터(1599-2000)로 연락하거나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이 제도가 여러분의 학업 여정에 든든한 지원이 되기를 바랍니다!




국가장학금 신청 방법 대상 불이익 장단점